정치가

플라톤, 정치가
서광사의 『플라톤의 소피스트/정치가(플라톤 저, 박종현 역)』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기본 정보
저자
플라톤 (BC428/427 or BC 424/423 ~ BC348/347)
아테네 출생, 아리스톤과 페릭티오네의 아들
외가쪽이 솔론의 6대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
고등 교육 기관 ‘아카데메이아’의 교육자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사적
I. 『에우튀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II. 『크라튈로스』, 『테아이테토스』, 『소피스트』, 『정치가』
III. 『파르메니데스』, 『필레보스』, 『향연』, 『파이드로스』
IV. 『알키비아데스 1』
V. 『카르미데스』, 『라케스』, 『뤼시스』
VI. 『에우튀데모스』,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메논』
VII. 『대 히피아스』, 『소 히피아스』, 『이온』, 『메넥세노스』
VIII. 『클레이토폰』, 『국가』,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IX. 『미노스』, 『법률』, 『편지들』
내용
젊은 소크라테스가 엘레아에서 온 손님과 정치가란 어떤 존재인지에 대해 나눈 대화로, 지식을 루트 노드로 삼아 이진 트리로 하위 노드를 분류해 내려가면서 정치가를 탐색
글귀
종류들에 따라 나누고서 고찰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탓으로 사람들은 그리도 많이 다른 것들을 같은 것들로 여기고서 대뜸 동일한 것으로 몰아넣는가 하면, 이번에는 이와 반대로 하기를, 다른 것들을 부분에 따라 나누질 않네. 마땅히 그래야만 하는데도 말일세. 누군가가 많은 것들의 공통성을 먼저 지각하게 된다면, 그는 이것에서 종류들 안에 자리 잡고 있는 그 많은 모든 차이들을 보기 전에는 미리 단념하지 말아야 할 것이지. 하지만 다시 이번에는 온갖 종류의 부동성들을 다수 속에서 목격하게 될 때는, 같은 종류의 것들 모두를 하나의 유사성 안에 가두어서, 어떤 한 부류의 본질에 의해 포괄하게 되기 전에는, 무안해서 멈추게 될 수는 없는 일이네. p.293, OCT 285a-285b, 손님, 분류하여 본질까지 탐구해야 한다
손님: 가령 누군가가 문자와 관련해서 배우는 학동들의 모임에 대해 우리에게 묻는다고 하세. 누군가가 어떤 낱말이건 그게 무슨 문자들로 이루어졌는지를 질문받았을 때, 그에게 하게 된 질문에 그에게 던져진 그 한 가지 때문이라고 우리가 말하겠는가, 아니면 던져지는 모든 질문과 관련해서 한층 더 문자들에 밝아지게 되는 것을 위해서라고 말하겠는가? 젊은 소크라테스: 그 모든 것 때문인 것이 명백합니다. 손님: 닷 이번에는 정치가와 관련된 우리의 탐구는 어떤가? 바로 이를 위해서 이 물음이 오히려 제기된 것인가, 아니면 모든 것과 관련해서 한층 더 변증술에 능하게 되는 걸 위해서인가? 젊은 소크라테스: 이 또한 모든 것과 관련해서 그렇게 되는 걸 위해서인 게 명백합니다. p.293-295, OCT 285c-d, 정치가에 대한/모든 탐구는 궁극적으로 변증술을 수련하기 위한 것
반면에 가장 위대하고 가장 가치 있는 것들의 경우에는 사람들을 위해 실감나게 만들어진 그 어떤 영상도 없네. 그것을 보여줌으로써 묻는 자의 혼을 만족시켜 주려고 하는 이가 그의 오관 중의 어떤 감각에 맞추어서 충족시켜 줄 그런 영상 말일세. 이 때문에 각각의 것에 대한 설명을 주고받게 될 수 있도록 수련해야만 하지. 왜냐하면 비물질적인 것들(ta asomata)은, 가장 아름답고 위대한 것들로서, 다른 어떤 것에 의해서도 아닌, 이성(logos)에 의해서만 명시될 수 있기 때문이니, 지금 말하게 된 것들 모두는 이것들을 위해서였네. 그러나 모든 것에 대한 수련은 더 큰 것들과 관련해서 하는 것보다 더 작은 것들에서 하는 게 더 쉽네. p.295-296, OCT 286a, 손님, 진리는 스스로 이성으로 탐구해야 함
손님: 훌륭하게 기억하고 있었네. 이에 따라 바른 통치([he]orthe arkhe)는 한 사람이나 두 사람 또는 아주 소수와 관련지어 탐구해야만 하네. 그게 바른 것이 될 경우 말일세. 젊은 소크라테스: 물론입니다. 손님: 하지만 이들이 자발적인 자들을 또는 비자발적인 자들을 통치하건 간에, 성문법에 따라 또는 성문법 없이 통치하건 간에, 그리고 부자들로서나 또는 가난한 자들로서 통치하건 간에, 지금 우리가 생각하고 있듯, 전문 지식에 따라 어떤 통치건 통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우리는 생각해야만 하네. 무엇보다도 의사들을 우리가 그리 생각했지. 그들은 우리가 자발적이건 자발적이지 않건 우리를 치료하네. 수술을 하거나 소작(燒灼)을 하건 또는 다르어떤 고통을 안겨 주건 간에, 또한 처방전에 따라 또는 처방전도 없이 하건 간에, 그리고 또 그들 자신들이 가난하건 부유하건 간에 우리는 조금도 못지않게 전적으로 의사들로 말하네. 그들이 전문 지식에 의해서 통제하는 한은, 설사를 하게 하건, 또는 다른 방식으로 살이 빠지게 하건, 몸을 늘리게 하건, 몸의 좋은 상테를 위하는 한, 그래서 몸을 나븐 상태에서 더 나은 상태로 만들어서, 보살피는 자들 저마다가 보살핌을 받는 것들을 보전케 한다면 말일세. 이렇게 해서, 우리는 이 규정만을, 의술 그리고 그 밖의 다른 어떤 다스림이든, 바른 걸로 삼을 것이라 나는 생각하네. 젊은 소크라테스: 그건 전적으로 그렇습니다. 손님: 나라체제(정체: politeia)들 중에서도 각별히 바른 유일한 나라체제는 이것인 게 그야말로 필연적인 것 같네. 이것에서 누군가가 참으로 지자들인, 결코 그리 여겨질 뿐인 자들은 아닌, 통치자들을 발견하게 되겠는 나라일세. 법률에 따라 또는 법률 없이 통치하건 간에, 자발적인 자들을 또는 자발적이지 않은 자들을 통치하건 간에, 그리고 또 그들 자신들이 가난하건 부자들이건 간에 말일세. 이것들 중의 어느 것도 그 어떤 정당성의 관점에서도 고려되어서는 안 될 것이네. p.314-315, OCT 293a-d, 바른 통치에서 정치가로서의 정당성은 전문 지식의 유무
손님: 그러나 위 법률 없이 통치하는 자들의 정당성과 관련해서 우리가 자세히 다루는 문제를 숙의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이 분명해졌네. 젊은 소크라테스: 어찌 그렇지 않겠습니까? 손님: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입법지식(nomothotike)이 왕도적인 지식에 속하는 것임은 명백하네. 그러나 최선인 것은 법률이 우세한 것이 아니라, 지혜(phronesis)를 갖춘 왕다운 사람이 우세한 것이네. 왜 그런지 아는가? 젊은 소크라테스: 어째서 그렇다는 말씀이신지? 손님: 그건 법이 모두에게 동시에 최선인 것과 가장 올바르것을 정확하게 포괄해서 최선의 것을 지시할 수는 결코 없을 것이기 때문이네. 왜냐하면 인간들과 그 행위들의 같지 않음들 그리고 요컨대 그 어떤 인간사도 결코 가만히 있지 않음이 그 어떤 전문 지식도 어느 전문 지식도 어느 경우에고 모든 것과 관련해서 그리고 언제나 그 어떤 단순한 것을 제시하는 것도 허용치 않으니까. 물론 이에 대해서는 우리가 아마도 동의하고 있겠지? 젊은 소크라테스: 물론입니다. 손님: 하지만 법은 바로 이것으로 거의 기울어져 있음을 우리는 목격하고 있네. 마치 완고하고 무지하며 자신의 지시에 어긋나는 것은 아무 것이든 그 누구든 행하는 것, 또한 누구에게도 질문하는 것도 허용치 않는 어떤 인간을 우리가 목격하고 있듯. 설령 누구에겐가 자신이 지시한 원칙에는 어긋나되 더 나은 어떤 새로운 것이 생각나서 그러더라도 말일세. 젊은 소크라테스: 정말입니다. 법은 우리 각자에게 오로지 방금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듯 대하니까요. 손님: 그렇다면 결코 단순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서 일관되게 단순한 것이 잘 적용될 수는 없겠군? 젊은 소크라테스: 그런 것 같습니다. 손님: 그렇다면, 법이 완벽하게 옳은 것이 아닐 텐데, 도대체 무엇 때문에 법 제정을 해야만 하는가? 그 까닭을 찾아내야만 하겠지? p.316, OCT 294a-c, 법의 불완전성
손님: 따라서 우리는 재판관들의 힘도 왕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법률의 수호자와 왕의 기능을 보조하는 것임을 우리가 알게 되었네. 젊은 소크라테스: 어쨌든 그런 것 같습니다. 손님: 언급된 모든 전문 지식을 보게 된 사람은 바로 이 점을, 즉 이것들 중의 어느 것도 어쨌든 나라 통치 지식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는 사실을 깨달아야만 하네. 참된 왕도적 통치 지식은 그것 스스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행할 수 있는 전문 지식들을 통할해야만 하니까. 나라들에 있어서의 중대사들의 시작과 추진을 적기(適期:enkairia) 및 적기 아님(akairia)과 관련하여 판단하고서 말일세.반면에 다른 전문 지식들은 각기 지시받은 것들을 행하여야만 하는 거고. 젊은 소크라테스: 옳습니다. 손님: 따라서 이런 까닭으로 방금 우리가 살펴본 전문 지식들은 서로도 그것들 자체도 통할하지 않지만, 각기 그것 특유의 어떤 활동과 관련되어 있어서, 그 활동들의 특이성에 따라 특유한 이름을 갖는 것은 정당하네. 젊은 소크라테스: 어쨌든 그런 것 같습니다. 손님: 반면에 이것들 모두를 통할하고 법률과 나라에 있어서의 일체의 것에 마음 쓰며 그리고 모든 것을 지극히 바르게 하나로 짜는 전문 지식은 그 공동체(to koinon)의 호칭으로 그것의 기능을 포괄해서 ‘나라 통치 지식(politika)’으로 우리가 일컬어 지당할 것으로 보이네. p.347-348, OCT 305c-e, 통치 지식의 정의
손님: 반면에 용감한 성격들은 올바름과 조심스런 면에서는 저들보다는 부족한 편이나, 행위 면에서의 대담성은 각별하네. 그러나 나라들과 관련된 모든 것이, 공사 간에 이들 양쪽 것들이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에, 훌륭하게 되는 건 불가능하네. 젊은 소크라테스: 어찌 그렇지 않겠습니까? 손님: 그러면 이것이 고른 짜임새에 의해 함께 짜인 직물의 완성, 곧 나라 통치 행위(politike praxis)의 완성에 이르는 것이라고 말하세. 용감하며 절제 있는 사람들의 성격을 왕도적 전문 지식이 한 마음(homonoia)과 우애(philia)에 의해서 이들의 공동의 삶을 이끌 때, 모든 직물들 중에서도 가장 위대하며 최선의 것을 완성하고, 그 나라들에 있는 다른 모든 사람을, 노예도 자유민도 이렇게 짠 것으로 감싸서 모두를 지키며, 가능한 행복한 나라가 되는 데 알맞은 정도에 어떤 면엥서도 아무것도 부족함이 없게 다스리고 지도하게 될 때 말일세. p., OCT 311a-c, 왕다운 사람과 정치가
내용 정리
왕도적 통치라는 전문 지식을 지닌 자, 정치가
- 법의 불완전성
- 법은 지자(ho eidos, 진짜 정치가)들에 의해 진리를 가능한 한 문자로 모방한 것
- 전문 지식이 아니라 법률에 따라 정해진 조례에 의해, 지식이 아닌 추첨이나 선출에 의해 지정된 담당자가 그 일을 관장하는 행태(대중의 민주 정체) 비판
- 전문 기술의 소멸, 담당자의 부정부패
- 왕도적 통치
- 대중이 왕도적 통치라는 전문 지식을 가질 수 있지 않음
- 하나 또는 소수
- 통지자 수와 법률 유무에 따른 정체 분류
- 바른 통치(he orthe arkhe): 왕도의 전문 지식을 갖춘 1인 통치자의 참된 나라 체제
- 1인 통치(monarkhia) - 왕정(basilike): 한 사람이 법률에 따라 바른 통치를 모방하며 통치 OR 왕도의 전문 지식으로 통치 - 참주 정체(tyrannike): 한 사람이 법률을 무시
- 소수자 통치(oligon arkhe) - 귀족 정체(aristokratia): 부유한 자가 법률로써 바른 통치를 모방 - 과두 정체(oligarkhia): 부유한 자가 법률을 무시
- 다수자 통치(pollon arkhe) - 민주 정체(demokratia): 1인의 왕이 나오지 않을 경우, 함께 모여 가장 참인 나라 체제의 행적을 추적해가면서 법규들을 초안해야 함
- 준법과 무법 환경에서 좋은 정체 순서 (준법) 1인 통치(왕정) > 귀족정치 > 민주 정치 (무법) 민주 정치 > 귀족 정치 > 참주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