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논

플라톤, 영혼의 불멸, 상기
아카넷의 『메논(플라톤 저, 이상인 역)』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기본 정보
저자
플라톤 (BC428/427 or BC 424/423 ~ BC348/347)
아테네 출생, 아리스톤과 페릭티오네의 아들
외가쪽이 솔론의 6대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
고등 교육 기관 ‘아카데메이아’의 교육자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사적
I. 『에우튀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II. 『크라튈로스』, 『테아이테토스』, 『소피스트』, 『정치가』
III. 『파르메니데스』, 『필레보스』, 『향연』, 『파이드로스』
IV. 『알키비아데스 1』
V. 『카르미데스』, 『라케스』, 『뤼시스』
VI. 『에우튀데모스』,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메논』
VII. 『대 히피아스』, 『소 히피아스』, 『이온』, 『메넥세노스』
VIII. 『클레이토폰』, 『국가』,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IX. 『미노스』, 『법률』, 『편지들』
내용
아테네에 방문 중인 메논과 탁월함을 획득하는 방식에 대해 나눈 대화
글귀
“하지만 지금의 나와 자네처럼 친구로서 서로 문답하기를 원한다면, 어떤 식으로든 더 부드럽고 문답에 더 적합하게 대답해야만 하네. 그런데 ‘문답에 더 적합하다는 것’은 아마도 참인 것을 대답하는 것일 뿐 아니라 질문받는 자가 안다고 미리 동의하는 것들을 대답하는 것일 걸세. 그럼 나도 자네에게 그렇게 말하도록 시도할 것이네.”
p.33~34, OCT 75d
“하지만 우리가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들을 발견할 수도 없고 탐구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할 때보다도 알지 못하는 것을 탐구해야만 한다고 우리가 생각할 때 우리는 더 나아지고 더 남자다워지며 덜 게을러질 거라는 사실, 바로 이것을 위해 난 기필코, 내가 할 수 있다면, 말들뿐 아니라 행동으로도 싸우려는 것이네.”
p.64, OCT 86b~c
후기
교육 : 배움/탐구를 향한 용기와 의지를 가진 학생과 훌륭한 인식을 가진 교사의 조화
이 책은 텟살리아의 메논과 소크라테스가 탁월함의 획득 방식에 대해 논의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교육의 여러 방면이 탐구되고 있다. 먼저 탁월함(arete)가 무엇인지 탐구하면서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이 제시되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탁월함이라 불리는 일종의 예시를 나열하는 메논에게, 동일한 하나의 형상이자 본질로 규정할 것을 요청하며, 형태라는 개념을 규정하는 문답을 통해 본을 보인다. 이 과정에서 엿볼 수 있는 문답법의 구조는 특정 개념을 정의할 때는 공통적인 하나의 본질을 제시하고, 사용 중인 개념에 대해 서로 동의한 후, 상대의 주장에 기반하여 문답하는 것이다.
산파술로도 불리는 소크라테스의 문답법은, 대화를 통해 스스로의 모순이나 무지를 깨닫는 과정이기 때문에 난관(aporia)에 빠져 혼란한 상태가 되기 쉽다. 메논도 소크라테스를 마비된 채 상대를 마비시키는 전기가오리에 비유하며 알지 못하는 것을 어떻게 탐구할 수 있느냐고 논변하려 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이 논변은 우리를 게으르고 유약하게 만들지만, 반론은 우리를 부지런하고 탐구에 매진하게 만든”다고 말하며, 배움은 선행 지식을 다시 발견하는 상기 행위이므로, 용감하고 탐구하는데 지치지 않는다면 탐구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반론한다. 이에 배움이 상기인 이유를 묻는 메논에게, 소크라테스는 즉석에서 메논의 노예 소년과 8 제곱피트의 면적을 가지는 정사각형의 한 선분의 길이를 탐구하는 문답을 보여주면서 설명한다. 소년은 그 답을 안다고 생각했지만 소크라테스와의 문답으로 난관에 빠지고 나서야 자신이 실제로는 무지하며 알지 못함을 인식하게 되었고, 용감하게 포기하지 않고 가르침없이 문답만을 계속하여 변의 길이가 2피트와 3피트 사이라는 것을 “상기”해냈다. 이를 통해 소크라테스는 난관에 빠지고 마비되었다고 해가 되지는 않고, 오히려 알지 못하는 자신의 상태를 깨달음으로써 이전보다 나은 상태가 되어 이로움을 준다는 동의를 이끌어낸다. 알지 못하는 것을 탐구하려는 용기와 의지는 배우려는 자에게 요구되는 자세이며, 이를 통해 더 나아지고 앎이라는 인식을 가지는 좋음의 상태가 되는 것이 교육의 최종 목표인 것이다.
가설을 세우고 검토하는 방식 또한 소크라테스의 문답법 중 하나로, 탁월함의 획득 방식에 무엇인지에 대해 메논과 소크라테스는 가설을 세우고 검증한다. 사람에게 가르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인식이라는 것에 동의한 두 사람은 탁월함은 뛰어난 것이고, 뛰어난 것은 유익하며, 지성(앎)과 더불어 행할 때 유익하므로 탁월함은 앎이라는 가설을 세운다. 그렇다면 탁월함은 본성적으로 뛰어나지 않으며, 인식이므로 가르쳐질 수 있다. 가르칠 수 있는 것에는 필연적으로 교사와 학생이 있으므로, 탁월함의 교사가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는 단계에 이르러, 잘 교육받았다고 이야기되면서 최고 관직에 선출받은 아뉘토스를 논의에 합류시킨다. 탁월합의 교사로 언급된 후보군은 3명으로, 첫번째는 탁월함의 교사임을 공언하고 그에 대한 보수를 정해 받아내는 사람들인 프로타고라스로 대변되는 소피스트 집단이다. 두번째 후보는 고르기아스로, 탁월함은 가르칠 수 없으며 말하는 수사학에 유능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인물이다. 그러나 소피스트와 고르기아스 모두 탁월함을 누군가에게 항상 성공적으로 가르치지 못하기 때문에 탁월함의 교사에서 제외된다. 세번째는 훌륭하고 뛰어난 사람들로, 테미스토클레스나 페리클레스, 투퀴디데스와 같은 정치가들이다. 그러나 그들의 자식 교육을 탐구한 결과, 그들 중에 특정 기술은 가르침을 받아 잘 행할 수 있더라도 훌륭하고 뛰어난 사람은 없었기 때문에, 뛰어난 사람이라도 모두가 탁월함의 교사는 아니었다. 따라서 소피스트나 뛰어난 사람들이 탁월함의 교사가 아니면 다른 어떤 사람도 교사가 될 수 없으며, 교사가 없으면 학생도 없으므로 탁월함은 가르쳐질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결론이 도출된다.
그렇다면 탁월함은 교육(가르침)에 의해 획득되지도 않고, 본성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라면 어떻게 가질 수 있는가? 소크라테스는 앎(인식)과 더불어 올바른 확신도 행위의 올바른 인도자이며, 앞선 논의의 결과로 탁월함은 인식이 아니므로 뛰어난 확신에 의해 생긴다고 말한다. 신탁이나 예언자와 같이 올바르게 인도하지만 자신이 말하는 것에 대해 알지 못하는 상태에 있으므로 뛰어난 사람은 신적인 사람이며, 따라서 “탁월함은 본성적으로 있는 것도, 가르쳐질 수 있는 것도 아니라 신적인 섭리에 의해 누구든 그것이 생기는 사람에게 지성없이 생기는 것”이라고 결론짓는다. 그러나 이 논증은 탁월함을 아는 사람이라면 탁월함을 가르칠 수 있다고 동의한 상황이므로, 뛰어난 사람들이라 불리는 정치가 집단이 실제로는 탁월함을 알고 있어서 올바르게 행하는 것이 아니라 무지하지만 참인 확신에 의해 인도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아뉘토스의 반발을 산다. 실제로 아뉘토스는 과두정이 끝난 후 소크라테스를 고발하여 죽음으로 이끈다.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는 말이 있다. 국가와 사회의 미래 백년의 발전의 초석이 교육에 있다는 의미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문구다. 일전의 『카르미데스』에서도 그랬듯이, 이 책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플라톤이 교육을 매우 중요시하고 많은 관심을 가졌다는 것이다. 민주정은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앎과 판단을 가지고 같은 공동체의 구성원들과의 논의 및 설득을 거쳐 최종 결정을 내리는 정치 체제이기 때문에, 시민 개개인의 지적 함양이 매우 중요시된다. 당시 아테네는 델로스 동맹의 수장으로서 지중해 질서의 중심이자 여러 식민시에서 흘러들어오는 막대한 부를 누렸지만, 정치적으로는 민주정으로 전환된 과도기였으며 당시 시민들은 플라톤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던 수준의 훌륭함을 가지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무지함에서 벗어나지도 못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최후 패자가 되어 1년의 과두정을 경험했고, 스승인 소크라테스에게 청년들에게 삿된 것을 가르치고 신에게 불경했다는 누명을 씌워 사형을 선고했던 주체가 아테네인들이었으며, 플라톤은 정치가로서의 목표를 버리고 철학자로서 살았다. 그가 고등 교육 기관인 아카데메이아를 직접 설립하고 교육자로 근무했던 것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무지를 일깨우고 영혼의 본질을 깨우칠 수 있도록 가르친다면 훌륭한 정치 구성원으로서 올바른 정치를 할 수 있을거라는 확고한 믿음이 있어서였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