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케스

라케스

플라톤, 교육의 목적, 용기

아카넷의 『라케스(플라톤 저, 한경자 역)』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1. 기본 정보
    1. 저자
    2. 사적
    3. 내용
  2. 글귀
    1. 후기
      1. 교육의 궁극적인 지향점과 덕의 부분인 용기의 정의

기본 정보


저자

플라톤 (BC428/427 or BC 424/423 ~ BC348/347)

아테네 출생, 아리스톤과 페릭티오네의 아들
외가쪽이 솔론의 6대손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
고등 교육 기관 ‘아카데메이아’의 교육자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사적

I. 『에우튀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II. 『크라튈로스』, 『테아이테토스』, 『소피스트』, 『정치가』
III. 『파르메니데스』, 『필레보스』, 『향연』, 『파이드로스』
IV. 『알키비아데스 1』
V. 『카르미데스』, 『라케스』, 『뤼시스』
VI. 『에우튀데모스』,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메논』
VII. 『대 히피아스』, 『소 히피아스』, 『이온』, 『메넥세노스』
VIII. 『클레이토폰』, 『국가』, 『티마이오스』, 『크리티아스』
IX. 『미노스』, 『법률』, 『편지들』

내용

뤼시마코스와 멜레시아스가 자제들의 교육에 대해 니키아스와 라케스 및 소크라테스와 나눈 대화

글귀


“뤼시마코스 님, 사실 저는 이 사람과 교제하고 있어서 기쁩니다. 또한 그리 훌륭하지 않게 행했거나 행하고 있는 것을 상기하는 건 전혀 나쁜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아니 오히려 남아 있는 삶을 위해 더욱 더 미리 생각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일들을 피하지 않고, 솔론의 말에 따라 살아 있는 한 배우기를 원하며 가치 있게 여기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노령이 분별력을 갖고 자신에게 다가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말이죠.”
p.46, OCT 188b, 니키아스


“나는 어떤 사람이 덕에 관해서나 어떤 지혜에 관해 대화를 나누고 있는 것을 들을 경우, 그가 진짜 사람이고 자기 말값을 하고 있다면, 엄청나게 기뻐하오. 말하고 있는 자와 그자가 하는 말이 서로 잘 맞고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을 함께 보면서 말이지요. 그리고 내겐 그와 같은 사람이 딱 음악적인 사람이라 여겨지는데, 그는 가장 아름다운 음계를, 뤼라나 놀이 악기가 아니라, 실제로 자기 자신이 자신의 삶을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상태로 조율해 낸 사람입니다.”
p.47, OCT 188d, 라케스



후기


교육의 궁극적인 지향점과 덕의 부분인 용기의 정의

  • 교육의 목적 : 영혼의 함양
  • 용기에 대한 이견 :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달리 판단하는 지점이 흥미로움
    • 니키아스 : 두려워할 것들과 대담하게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앎
    • 라케스 : 현명한 인내

© 2021 by iyerl.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Hydejack v9.1.2